로그인

부동산뉴스

100평 상가, 월 126만원"…요즘 명동 얘기입니다

  • 4.#주유소매각 #주유소매매 #주유소매입 #호텔매각 #호텔매매 #호텔매입 #비즈니스호텔 #자산매입 #자산처분 #자산유동화 .#리테일 #상권확장 #상권축소 #공실 #상권지도 #리테일 #오피스동향 #우수상권 #젠트리피케이션 #유망상권 #지는상권 #풍수명당 #핵심상권 #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면서 명동 상권의 임대수익이 10분의 1 수준까지 떨어졌다. 상가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명동 거리. [한주형 기자]
사진설명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면서 명동 상권의 임대수익이 10분의 1 수준까지 떨어졌다. 상가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명동 거리. [한주형 기자]

"세입자 요구로 월세를 10분의 1로 낮춰 200만원에 계약하기로 했습니다. 은행 이자라도 내려면 공실로 둘 수가 없네요. 작년에 부과된 종합부동산세 6400만원은 메울 길이 없어 체납했고, 곳곳에 압류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서울 중구 명동 소재 상가 1개층을 분양받아 세를 주고 있는 A씨. 그는 이곳 상권이 벼랑 끝에 내몰린 정도가 아니라 이미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A씨는 일본인 관광객을 상대로 영업하던 병원을 세입자로 받고 있었다. 최근 계약 만료가 다가오자 세입자는 A씨에게 다른 곳으로 이전하겠다고 통보했다. 코로나19로 최근 2년간 명동을 찾는 관광객이 '뚝' 끊긴 결과다. 세입자를 붙잡느라 월세를 10% 수준으로 낮췄지만, A씨는 그나마 상황이 낫다. A씨가 부분 소유하고 있는 건물은 90%가 공실이다.

국내 상권이 '위드 코로나'를 계기로 전환점을 맞이했지만 코로나19가 할퀸 상흔은 컸다. 전년 대비 임대 순이익이 반 토막 난 상권들이 속출했기 때문이다. 상가 공실률이 50%에 육박하는 명동 상권은 상가의 순영업소득이 10분의 1로 줄었고, 도산대로와 청담, 홍대·합정 등도 상가 소유주들 순이익이 반 이상 줄었다. 자영업자들 위기가 '건물주'인 상가 소유주들에게도 전이되는 상황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명동 중·대형 점포의 올해 3분기 순영업소득은 ㎡당 1만15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 15만4900원 대비 92.6% 줄었다. 순영업소득이란 상가 임대 수입과 기타 수입을 더한 금액에 상가 영업 경비를 제외한 소득이다. 소득세와 대출 이자 등은 포함되지 않아 부채가 많으면 상가 운용으로 얻는 수익은 더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다.

 

부동산원은 3층 이상, 연면적 330㎡(약 100평) 초과 상가를 중·대형 점포로 분류한다. 부동산원이 발표한 순영업소득대로라면 명동 소재 100평짜리 상가는 지난해 3분기 5112만원, 월 1704만원의 임대 수익을 냈다. 하지만 올해는 379만5000원, 월 126만원밖에 수익을 내지 못했다. 명동의 소규모 점포(2층 이하·330㎡ 이하)도 순영업소득이 크게 위축됐다. 지난해 3분기 ㎡당 13만9600원에서 올해 3만4400원으로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는 부동산원이 명동 중·대형 점포 23개동, 소규모 점포 13개동을 통해 집계한 결과다. 통상 상가 건물에 수억 원의 은행 대출이 끼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세금은커녕 이자조차 내기 힘들다"는 상가 소유주들 목소리가 엄살이 아닌 셈이다.

명동 상권은 최근 1년간 공실률이 눈에 띄게 늘었다. 중·대형 점포의 공실률은 지난해 3분기 9.8%에서 올해 3분기 47.2%로 수직 상승했고, 소규모 점포 역시 28.5%에서 43.3%로 급증했다.

명동 B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4년 전까지만 해도 권리금만 2억원 이상 받던 1층 점포들도 권리금 한 푼 없이 가게를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일부 매장에서는 임대료를 파격적으로 낮춰 공실을 막아보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공실로 임대료를 한 푼도 받지 못하는 것보다는 최소한의 금액이라도 챙겨야 생존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가 소유주들은 다가올 종부세를 염려하고 있다. 지난해 명동 C상가 1개층 소유주에게 부과된 종부세만 6400만원에 달했다.

유령 상권에 대한 공포는 명동만의 일이 아니다. 서울 핵심 상권에서 공실 공포가 눈앞에 다가왔다. 올해 3분기 소규모 점포 기준 압구정(0%→17.1%), 홍대·합정(9.2%→24.7%), 도산대로(0%→14.7%), 광화문(4.3%→19.3%) 등은 전년 대비 공실률이 크게 급증했다. 상가 소유주들의 임대 수익 감소도 크다. 중·대형에서는 교대역(-76.7%), 남부터미널(-62.3%), 도산대로(-93.8%), 청담(-65.3%), 홍대·합정(-55.4%), 천호(-58.5%) 등 6개 상권에서 순영업소득이 지난해 동기 대비 절반 이상 감소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21/11/1060864/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