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공유경제의 그늘②] 도심 곳곳에 널부러진 킥보드...인명사고와 환경이슈

  • 5.#개발호재 #건축물 #건축물 #도시개발 #도시건축 #도시재생 #재건축 #재개발 #복합개발 #부동산대책 #부동산동향 #부동산세금 #양도소득 #임대사업자 #부동산정책 #부동산지수 #부동산지표 #상가권리금 #상가임대차 #임대차분쟁 #재정비구역 #절세 #주택정비사업 #지구단위계획 .#경제전망 #경제동향 #경영승계 #기업동향 #공유경제 #구독경제 #실적악화 #실

② 도시 곳곳에 널부러진 공유 킥보드, 대책은?

'공유경제'라는 단어는 2008년 세상에 처음 등장한 이래 어느덧 우리 일상 속에 깊이 스며 들었다. 공유경제는 전통산업 사이의 빈틈을 파고 들어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혀 주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전통산업이 주지 못했던 편리함을 더해주기도 했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는데, 그렇다면 공유경제는 과연 긍정적인 영향만을 낳았을까? 


◼︎ 코로나가 다시 불러온 공유킥보드 인기

요즘 서울 도심에서는 여러 종류의 공유전동킥보드(이하 공유킥보드)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근 몇 년 사이 전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공유킥보드로 대표되는 공유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확대돼 왔다. 하지만 얼마 안 가 일부 도시에서는 공유킥보드 운영 업체 수를 제한하거나 관련 규제를 강화했고, 공유킥보드 자체를 아예 퇴출한 도시도 있었다. 거리 곳곳에 방치되는 킥보드가 도시 미관을 해치고, 무엇보다 공유킥보드가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문제가 주된 원인이었다. 

공유킥보드 플랫폼의 인기가 주춤하던 차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가 몰고 온 팬데믹은 공유모빌리티 업계의 상황을 반전시켰다.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공유킥보드의 인기를 한층 더 높였다. 게다가 코로나19의 등장이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면서 공유킥보드의 비교적 낮은 환경발자국 역시 그 인기에 한 몫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공유킥보드에 대한 대중의 호응 및 관심과는 별개로, 공유킥보드가 지닌 위험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공유킥보드 안전사고

공유킥보드의 이용률이 높아지는 만큼 관련 교통사고 계속해서 늘어왔다. 그 중 몇몇 사고는 탑승자나 보행자의 목숨을 앗아갈 정도로 위험했다. 보도 위에서 킥보드를 탑승하는 것은 세계 대부분의 도시에서 불법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도 위를 무법자처럼 달리는 이용자들이 분명 존재한다. 이러한 이용 행태는 보행자, 특히 휠체어를 타고 있는 사람들이나 시각장애인들에게 굉장히 위험하다. 별다른 규제 없이 자전거 전용 도로가 아닌 일반 자동차도로 위를 질주하는 킥보드 역시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세워져 있는 킥보드도 위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공유킥보드는 거치대가 따로 없는 형태로 운영된다. 그래서 이용이 편리할 수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도시 곳곳에 널부러진 공유킥보드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아무 곳에나 방치된 공유킥보드는 보행자나 차량의 이동에 방해물이 되고 있다. 


◼︎ 환경에는 안전할까?···공유킥보드 환경발자국 두고 회의적 시각도

공유킥보드의 위험성은 안전사고뿐 아니라 '환경'과 관련해서도 제기되고 있다. 공유킥보드의 경우 이용하는 시점에는 탄소배출을 하지 않지만, 이 킥보드를 제조하고 운반하며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탄소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공유킥보드는 주기적으로 모두 수거된 뒤 배터리를 충전하고 다시 재배치해야 하며, 전동킥보드의 제품수명이 짧을 경우 그 탄소배출량이 더 클 수밖에 없다. 

2019년 노스캐롤라이나주대학교(NCSU) 연구진들이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전동스쿠터 제조 및 운반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고려했을 때, 전기자전거나 일반 자전거, 전동스쿠터, 일반 버스 등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1인당 탄소배출량보다 전동스쿠터의 1인당 탄소배출량이 더 크다는 결론이 나왔다. 

한편에서 공유킥보드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높아질 때, 또다른 한편에서는 공유킥보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공유킥보드가 사회에 야기하는 '불안' 때문이다. 이 불안이 실제 위험이나 위기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공유킥보드를 둘러싼 규제와 관리가 빈틈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biz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803&page=3&total=132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