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몸집 커지니 지방에서 서울로… 언론사 잇달아 사들이는 건설사들

건설사 사이에서 전국 단위 언론사를 매입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동안 지역을 근거지로 삼는 건설사들의 경우 해당 지역 언론사를 소유하는 경우는 많았다. 이들이 성장해 전국 단위로 사업을 하면서 언론사 역시 전국 단위로 신문을 발행하는 언론사나 인터넷 신문 등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호반건설과 중흥건설이 대표적이다. 건설업계에서는 리스크 관리나 대관 관리, 평판 관리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생기는 일이라고 보고 있다.

호반건설 서초구 우면동 신사옥
 
호반건설 서초구 우면동 신사옥

20일 건설·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은 지난 19일 전자신문 지분 43.7%를 약 280억원에 매입했다. 호반건설은 인터넷 경제신문 EBN을 이미 인수했고 서울신문 지분 인수도 추진하고 있다.

호반건설은 최근 서울신문 2대 주주인 우리사주조합에 조합이 보유한 지분(28.6%)을 전량 매입하겠다는 제안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 우리사주조합은 조합원 투표로 제안 수용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공문에는 매입대금과 특별위로금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서울신문 우리사주조합원과 구성원들이 동의하는 경우, 우리사주조합이 보유한 서울신문사 주식 전부를 510억원에 취득하겠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이는 서울신문 지분에 매길 300억원과 임직원 총 420명에 ‘특별위로금’ 명목으로 지급할 1인당 5000만원을 합산한 값이다. 호반건설은 현재 서울신문의 주식(19.4%)를 보유한 3대 주주다.

만약 서울신문 우리사주조합원과 구성원이 지분 매각에 동의하게 되면 주식 48%를 갖게 된다. 대기업으로 분류되는 호반건설은 신문법(18조 대기업의 일반일간신문 소유제한 등)상 일반 일간신문의 지분을 50% 이상 소유할 수 없지만 서울신문 우리사주조합 지분을 매입한다고 해도 과반이 넘지 않기 때문에 지분 매입이 가능하다.

서울신문 지분 매입만 성사된다면 호반건설은 일간지와 인터넷신문, 전문일간신문을 두루 보유한 그룹으로 거듭나는 셈이다. 대신 원래 보유하고 있던 KBC광주방송 지분은 JD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현행 방송법은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의 대기업은 지상파방송사 지분 10%를 초과해 소유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에 있는 중흥건설 본사.
 
광주에 있는 중흥건설 본사.

대우건설 인수전에서 승기를 잡은 중흥건설도 헤럴드의 최대주주로 등극하면서 2019년 전국 단위 언론사 주인이 됐다. 중흥그룹은 홍정욱 헤럴드 회장과 헤럴드 지분 47.8%를 매입하는 지분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헤럴드는 헤럴드경제와 코리아헤럴드를 발간하고 있다. 중흥그룹은 헤럴드 인수 이전에도 광주 지역 일간지인 남도일보를 사들인 바 있다.

중흥건설 관계자는 “뉴미디어 시대에 언론사의 재정자립도를 높여주면 경쟁력 있는 미디어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는 생각에 헤럴드를 인수했다”면서 “중흥 입장에서는 기업의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했다.

언론사를 보유한 건설사는 이 밖에도 많다. 부영그룹은 한라일보와 인천일보의 최대주주다. 한국일보 인수전에도 뛰어든 바 있다. 태영건설은 SBS와 강원민방G1과 KNN부산경남방송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부동산개발회사 자광은 2018년 10월 전북일보 지분을 매입한 바 있다. 또 남양건설은 광주매일 지분을 가지고 있다.

인수합병 시장에서는 건설사들이 언론사를 인수하는 것이 사세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토지를 매입하고 각종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설사 입장에서 대관활동은 매우 중요한 일 중 하나다. 시공을 넘어서 디벨로퍼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서도 그렇다. 이런 업무에 정보는 물론 영향력을 가진 언론사가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다는 것이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언론사는 매물로 잘 나오지 않는 편인데 기업을 더 키워나가고자 하는 쪽에선 언론사를 계열사로 두려는 의지가 강한 것 같다”면서 “기업 활동을 홍보하는데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는 것도 이유로 보인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민원이 많은 산업인 건설업에서 언론사를 소유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는 “지역 건설사들이 지역 일간지나 지방 민영방송사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에는 언론사가 건설비리나 토착비리를 파헤치거나 감시하지 못한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면서 “지금은 큰 관심이 없지만 지방자치권이 강화될 수록 지방 건설사가 언론사를 소유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고민해야 할 때가 도래할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몸집 커지니 지방에서 서울로… 언론사 잇달아 사들이는 건설사들 - 조선비즈 (chosun.com)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