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수원 율전동 등 경기지역, 규제 약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발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 주춤했던 서울과 경기 지역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정부의 다중 규제와 공급 대책, 영끌 대출 등에 따른 피로감에 '거래절벽' 상황은 심화하고 있지만 수도권 전역이 오르는 모양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값은 최근 8주 연속 0.1%대 상승률을 이어가며 오름폭을 키우고 있다.


특히, 강남권 초고가 아파트값은 최근까지도 쉬지 않고 오르며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가격 천장을 높이고 있다.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의 월간주택동향 통계에 따르면 강남구의 ㎡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달 2천335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았다. 국민주택 규모인 85㎡ 아파트로 따지면, 2년 사이 약 15억원에서 19억8천만원으로 5억원 가깝게 뛴 셈이다.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부동산원의 주간 통계 기준 올해 들어 지난주까지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광역시·도는 인천(12.35%)과 경기(10.81%) 순으로, 서울(2.45%) 상승률의 4.4∼5.0배에 달한다.

이처럼 부동산 가격 상승이 지속되자 공공주도 재개발, 민간 재개발, 재건축 등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공급 대책 대신 규모가 작은 곳의 주거 여건을 비교적 빨리 개선할 수 있는 소규모재건축 사업(가로주택정비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서울시가 소규모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 2012년 도입한 제도로 '미니 재건축'이라 불린다. 기존 가로구역(도로로 둘러싸인 구역)을 유지하면서 1만㎡ 이만 소규모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노후한 주택이 밀집한 소규모 구역을 빠르게 정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일반 재건축 사업이 평균 9.7년가량 걸리는 것과 달리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약 3~4년가량 소요된다. 규모가 작은 데다 안전진단, 정비구역지정, 추진위원회 구성 등 절차가 생략되고 공공임대주택을 넣어 공공성을 강화하면 민간택지에도 적용되는 분양가 상한제를 피할 수 있다. 초과이익환수제도 적용받지 않는다.

현재 서울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는 곳은 모두 102곳(5월 기준)이다. 지난해 2분기(1~6월) 63곳에 불과했던 추진 사업지가 1년여 만에 40곳 가까이 불어났다.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지역도 소규모 재건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경기도 내에 279곳이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며, 최근에는 경기 수원 장안구 율전동 내 장미6차아파트가 시공사 선정총회를 실시한데 이어 장미5차아파트도 가로주택정비사업 창립총회를 성공리에 마쳤다.

특히, 장안구 율전동은 30년 이상 노후화된 저층 주거지가 많아 재건축이 어려웠으나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해 새로운 주거 단지로 탈바꿈할 것이라는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가장 오래된 장안아파트까지 사업을 진행하게 되면 율전동의 랜드마크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화서스타필드 입점, 수원역 GTX-C 노선 개통 등 호재도 풍부하다.


㈜라이언블랙파트너스 김희범 대표는 ”현재 정부와 지자체들이 소규모 정비사업을 활성화 하는 분위기다 보니 사업 진행 속도가 빠른 편이다. 하지만 공급이 많아지면 대단지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처럼 규제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소규모 재건축도 결국 조합원들 간의 원활한 소통이 중요하므로 시공단계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조합원의 이익을 보호하는 전문 PM업체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 율전동 등 경기지역, 규제 약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발 - 매일경제 (mk.co.kr)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