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엇갈린 인플레이션 전망…"일시적 현상 vs 당분간 지속"(종합)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정규 기자 =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엇갈린 전망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한 '인플레이션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망과 이에 대응한 재정·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검토했다.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는 이날 '인플레이션 진단 및 전망'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인플레이션은 단기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김 교수는 "인플레이션은 단기적으로 수요와 공급, 장기적으로 통화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수요 측면에서는 ▲소비·투자 증가 ▲수출 증가 ▲정부 재정지출 확대가 인플레이션을 견인하고 있고 공급 측면에서는 원유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통화량도 작년부터 연율로 10% 이상 증가해 0.5% 수준의 기준금리와 함께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다만 글로벌 수요 감소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 미국의 강한 테이퍼링으로 인한, 한국의 통화량 조정 가능성 등은 인플레이션의 강도나 지속 기간을 줄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통화·재정 정책방향'에 대해 주제발표에 나선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현상이라는 의견을 폈다.

정 실장은 "최근 우리 경제가 수출이 개선되며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위기 이전의 성장경로를 하회하고 있다"며 "산업별·업종별 경기 격차, 민간소비의 위기 이전 수준 미회복 등을 볼 때 단기간에 경기가 과열될 가능성이 낮고 인플레이션도 일시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경기 격차가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ICT)와 비ICT 등 제조업의 업종 및 금융·보험과 숙박·음식 등 서비스업의 업종 간에서도 경기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이므로 통화정책 기조 전환은 신중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재정정책 방향에 대해 "위기가 경제주체별로 불균등한 타격을 주고 있고 급증한 국가채무 등을 고려할 때, 재정정책은 취약·피해계층에 집중해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위기 대응과정에 민간부채가 급증하고 자산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해 금융시장의 불안 발생 가능성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불균형 가능성 완화를 위해 거시건전성 정책을 우선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인플레이션 계속 여부에 따라 통화정책 등의 조정이 불가피하므로 이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거시정책의 운용에 있어 한국의 높은 민간부채와 취약한 상환 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근본적으로 민간 활력 제고를 통해 기업과 가계의 소득을 높여 부채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상규 동국대 석좌교수가 주재한 토론에서 김현석 부산대 경제학과 교수는 "과거 원자재 가격 하락, 중국경제 둔화, 미국 금리인상 등이 겹치면서 신흥국들과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경우 위기에 직면했던 경험이 있다"며 "미국의 기준금리와 원자재, 환율 변동을 주의 깊게 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물가 안정 목표를 국제 경제와 연관해서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술 발전과 인구구조 변화 등의 장기적 요소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인플레이션 추세를 하락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반면 중국의 생산가능인구 둔화 등으로 인한 생산비용 상승이 향후 인플레이션의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또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 진정세로 인한 세계경제 회복세,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변동 등 해외 요인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국내 통화정책의 변화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국내 자산시장의 파급효과가 총수요 측면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