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한국 최초의 마천루 3·1빌딩의 재탄생… 커튼월 살리고 개방감 더했다

  • 사옥매매,사옥이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청계천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20여분을 걸어가면 검은색 외벽에 네모반듯한 31층짜리 건물이 있다. 직장인들의 출근 행렬이 이어지는 출입구 아래에는 ’1969.3.1′, ’2020.3.1′이라고 새겨진 두 개의 머릿돌이 보인다. 국내 최초의 마천루, 대한민국 근대 건축사의 한 획을 그은 아이콘, 바로 ‘삼일빌딩(3·1빌딩)’이다. 오늘날 종로·광화문·여의도 일대 수많은 오피스 빌딩의 모습과 크게 다를 게 없어 보이지만 3·1빌딩은 이들 중 맏형으로 부르기에 충분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2021년 5월 삼일빌딩 전경. /허지윤 기자
 
2021년 5월 삼일빌딩 전경. /허지윤 기자

1968년에 착공해 1970년에 완공된 3·1빌딩은 1985년 여의도 63빌딩(한화63시티)이 들어서기 전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당시만해도 삼일빌딩 층수를 세는 것이 서울 관광 코스 중 하나였다. 연면적 3만6000여㎡에 114m, 31층 높이의 삼일빌딩은 오래됐지만 세련됐고, 단순하지만 정교하다. 한국 대표 건축가 김중업(1922~1988)씨는 국내 최초로 ‘커튼월(curtain wall)’을 설계에 적용했다. 커튼월은 유리를 사용한 빌딩 외벽 마감을 뜻한다. 철골을 외벽으로 노출시키고 철골 사이를 유리로 채우는 방식을 썼다.

이후 50년만인 지난 2020년 리모델링을 통해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건축물로 다시 태어났다. 2018년 3·1빌딩을 매입한 SK D&D와 투자사 벤탈그린오크는 건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했고, 2020년 11월 준공했다. 건축 설계는 정림건축이, 건축 콘셉트 설계 및 내부 인테리어 설계는 원오원아키텍스가 담당했다.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면서 건축유산의 가치를 그대로 두고 건축물을 재구성해 가치를 높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리모델링 이전 삼일빌딩 외관. /SK D&D
 
리모델링 이전 삼일빌딩 외관. /SK D&D

◇ 1970년 서울 삼일대로 앞 ‘맘모스 빌딩’의 등장

‘국내최고(国內最高)의 3·1빌딩, 18층(層)까지 임대(賃貸)보증금만 4억(億).’ 1970년 6월 5일 신문에는 이 같은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당시 조선일보는 삼일빌딩에 대해 이렇게 썼다.

지상 31층 지하2층으로 연건평(延建坪) 1만5백평(매층(每層)3백20평)의 이 맘모스「삼일로(三一路)빌딩」에는 이미 내장(内装)공사가 끝난 18층까지 외환은행본점이 이사를 마치고 8일에 개점식(開店式)을 갖기로 돼있다. 나머지 전관(全舘)은 7월 초에 완공된다.
국내기술자만으로 지어진 이 건물의 값은 대지(垈地)(5백68평)값을뺀 순(純)건축비만 13억원. 검은색 코르텐 샤시의 화려한 외장(外装)과 주차장(駐車場)으로 쓰일 15층의 부속(附属)건물탓으로 이제까지 선 빌딩 가운데 단가(単価)가 가장 비싸게 먹혔고 그만큼 임대료(賃貸料)도 엄청나다. 일본 동경(東京)의 가스미가세끼(36층)빌딩과 새로선 무역(貿易)센터(42층)에 이어 「삼일로(三一路)빌딩」이 동양(東洋) 제3위의 고층건물이라는 것이다.

당시 철과 특수강을 생산하면서 방위사업체로 급성장했던 삼미그룹이 사옥으로 쓰기 위해 삼일빌딩 건립 공사를 발주했고, 우리나라 현대건축의 거장으로 꼽히는 건축가 고 김중업씨가 설계를 맡았다. 그는 김수근과 함께 한국 건축을 이끈 1세대 건축가로, 현대 건축의 거장 르코르뷔지에(1887~1965)의 유일한 한국인 제자로 알려졌다.

김중업씨가 설계한 3·1빌딩을 통해 근대 건축의 새 역사가 열렸지만, 이후 그의 삶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그는 이 빌딩을 완공한 이후 군사정권을 향해 비판 발언을 했다는 이유로 삼일빌딩 설계 비용을 모두 받지도 못한 채 1년 만에 프랑스로 강제 출국돼, 1971년부터 8년간 한국에 돌아오지 못했다.

◇ 2020년,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아이콘으로

2020년 3·1빌딩은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3·1빌딩의 리모델링 콘셉트는 ‘리-아이코나이즈(Re-Iconize)’였다.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내·외관의 미적 가치와 기능을 프라임 빌딩급으로 강화하는 게 리모델링의 핵심이었다.

3·1빌딩 내부로 들어서자, 자로 잰듯한 검은색 격자무늬 디자인과 흰색 조명이 수놓은 천장이 현대적이고 깔끔한 인상과 개방감을 줬다. 시선을 사로잡는 원형계단을 따라가면 과거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한 구조물이 그대로 노출돼있어, 한 공간에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건물주인 SK D&D와 투자사 벤탈그린오크가 이 같은 리모델링을 택한 데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3·1빌딩은 근대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건축물인 데다 삼일빌딩의 외관 골조 등이 현대식 건물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정도로 미적으로 우수했다. 또 삼일빌딩의 용적률은 1711%, 높이 110.8m, 31층으로, 신축을 할 경우 최고높이 70m, 허용 용적률 600% 등으로 현재 규모를 유지하지 못하는 점이 있어 경제적으로도 리모델링으로 추진하는게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3·1빌딩 리모델링을 이끈 배준범 SK D&D 프로젝트매니저(PM)는 “근대화의 아이콘이라는 3·1빌딩의 역사적 가치를 계승하되 현대화된 주변 도심 환경과 더 오랜 시간 공존하는 건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고 했다.

◇ 3·1빌딩의 존재감, 최초의 커튼월 유지

3·1빌딩의 존재감은 단연 ‘입면성’에 있다고 건축업계는 설명한다. 입면성이란 건물의 전면, 우측면, 배면, 좌측면 등 외관 4면의 모양을 뜻한다. 3·1빌딩은 유리를 고정하는 철제 뼈대를 외부에 드러내고 있다. 건물의 출입구로 이용되는 정면 외벽에 이런 ‘커튼월 방식’을 적용한 것은 3·1빌딩이 시작이었다. 미니멀리즘의 대가로 불리는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한 미국 뉴욕 시그램(Seagram) 빌딩의 영향을 받은 결과다.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해 1958년 완공한 미국 뉴욕 시그램(Seagram) 빌딩 전경. /구글 스트리트뷰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해 1958년 완공한 미국 뉴욕 시그램(Seagram) 빌딩 전경. /구글 스트리트뷰

리모델링 설계를 이끈 김해진 정림건축 소장은 “3·1빌딩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외관 디자인과 콘셉트는 김중업 건축가가 최초 설계한 입면 방식과 커튼월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해 고유의 비례미와 정면성를 유지하고자 했다”고 했다. 정면성(正面性)이란 정면에서 바라본 건축물의 가치를 뜻한다. 건물의 대표이미지, 얼굴인 셈. 서양 건축에서는 건물의 4면 중 전면(前面), 즉 ‘파사드(façade)’에 특별한 가치와 방향성을 부여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2019년 리모델링 전 삼일빌딩 외관. /SKD&D
 
2019년 리모델링 전 삼일빌딩 외관. /SKD&D

다만 50년만에 이뤄진 리모델링을 하면서 커튼월을 살리기 위해서는 선결과제가 있었다. 지난 세월만큼 철제에 손상이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전진단을 통해 커튼월 외부의 판넬과 형강에서 녹얼룩과 누수 현상이 확인됐다. 외부 구조재를 교체하고 900mm 간격의 I형강 사이 내부에 단열 처리된 부재를 설치해 단열·차수를 강화하는 등의 작업이 이뤄졌다.

김 소장은 “기존 3·1빌딩의 수직 H 형강은 커튼월의 구조재이자 루버(창살)역할을 하면서도 일반적인 커튼월과 달리 외부로 구조재가 돌출돼있다”면서 “이는 고층 건물 유지관리에 유리한 점이 있다. 유리를 고정하는 커버가 실내에 있어 유리 파손 시 실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고려한 것으로 보였다”고 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이런 특성이 잘 보존되고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H형 지지틀을 다른 재질로 변경하지 않고 스틸 재질로 적용해, 본래의 수직구조재로서의 기능을 하면서 실내에서 유리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 낮은 층고 한계 고민… 새로운 변화, 개방감을 키운 로비와 선큰 가든

반세기 만에 진행된 리모델링은 과거의 김중업과 현대의 건축가들 간의 끊임없는 대화였다.

“31층의 높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보를 뚫고 덕트를 배열해 날씬하게 보이려고 무척 애를 썼다.” 고(故) 김중업 건축가는 3·1빌딩 설계에 대해 이같이 회고한 바 있다. 보는 바닥판과 연결 돼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구조부재이고, 덕트는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이다. 정해져 있는 건물 높이 안에서 31층을 맞춰야하다 보니, 낮은 층고와 공간 확보의 한계를 어떻게 해결할 지에 대한 건축설계사의 깊은 고민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대한건축사협회에 따르면 당시 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조실로부터 나오는 덕트를 보에 관통시켜 천장고를 확보했다. 또 대지 형태에 맞춰 남측으로는 독립된 사무공간을 만들고 북측으로 돌출된 작고 좁은 대지를 활용해 사무영역과 분리된 독립된 코어를 만들어 공간성을 확보했다. 좁은 공간에서 계단실과 승강기실, 공조실도 배치했다.

50년 뒤 리모델링을 진행하게 된 설계사들도 층고의 한계를 해결하는 것이 숙제였다. 층고가 낮다보니 실내가 답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개선하는 시도들을 했다.

우선, 실내 천장 일부를 트고 배선 등이 들어가는 바닥 높이를 대폭 낮췄다. 김해진 소장은 “옛 건물이다보니 층고의 한계가 있었다”면서 “기준층 층고가 3.3m, 천장고 2.3m로 낮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오피스 공간의 엘리베이터(EV)홀 주변에만 최소 설비배관 등을 집중시켜 낮은 천장 공간을 만들고, 나머지를 개방형(오픈) 천장으로 만들었다”고 했다. 이어 그는 “또 바닥의 사무자동화용 플로어(OA FLOOR·H30mm)를 낮게 설치해 천장고를 최대한 확보해 개방감을 주고자 했다”고 밝혔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변화는 거리에서 들여다 보이는 로비와 선큰(sunken) 공간이다. ‘움푹 들어간', ‘가라 앉은'이란 뜻의 선큰은 지하에 자연광을 유도하기 위해 대지를 파내고 조성한 공간을 말한다.

이는 도시와 단절돼있던 빌딩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하기 위한 요소들이다. 지난 1969년 3월 개통된 삼일고가도로는 건물 정면의 저층부를 가로막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 삼일고가가 철거되고 청계천 일대가 복원됐다. 이런 변화에 맞춰 저층부 설계에 공을 들였다.

실제 청계천에서 3·1빌딩 로비와 저층부의 격자무늬의 천장이 눈에 먼저 들어온다. 동시에 내부의 조명이 주변 거리를 환하게 해준다.

리모델링을 마친 삼일빌딩 내부. /SK D&D
 
리모델링을 마친 삼일빌딩 내부. /SK D&D

김해진 소장은 “3·1빌딩을 외부에서 볼 때 통일성 있는 조명이 보이도록 해 개방감을 강화했고, 지상 1, 2층에서 지하 1, 2층까지 일체형 커튼월과 선큰(sunken) 가든이 이어지도록 설계해 청계천에서 건물 내부가 연결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삼일빌딩 건물 내 선큰(sunken) 공간. /허지윤 기자
 
삼일빌딩 건물 내 선큰(sunken) 공간. /허지윤 기자

하부 지하층을 절개하고 중앙 계단을 우측으로 옮겨 선큰(sunken) 공간도 만들었다. 그는 “건물외부 저층부에 기단이 형성돼 있어 접근성과 활용도가 떨어져 있었는데, 지하층부터 2층까지 원형계단을 설치해, 각 층별 상업 공간을 연결하고, 이를 통해 건물에 활기를 불어넣는것은 물론, 나아가 건물 내부공간의 상징물이 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배준범 SK D&D PM은 “50년 전 외부노출 철재 소재의 커튼월 시스템의 컨셉과 디자인을 유지한 채로, 현대적 소재와 기술을 더해 현대적 건축물로 탈바꿈해 가치를 향상시켰다”면서 “3.1빌딩이 50년을 넘어 100년으로 건축문화유산으로 보존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건축의 맛]② 한국 최초의 마천루 3·1빌딩의 재탄생… 커튼월 살리고 개방감 더했다 - 조선비즈 (chosun.com)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