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Part 2. 로봇, 물류센터 지형도 바꿀 ‘Game Changer’로 부상

코로나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모든 공급사슬에 ‘비상’이 걸렸다. 전문가들은 달라진 물류 시장에서 생존과 경쟁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면 위기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민첩성, 즉 ‘자동화’를 솔루션으로 선택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AFTER COVID-19 시대’ 물류 시장에서는 이런 트렌드가 반영돼 ‘자동화 물류창고’에 대한 중요도가 더 높아질 전망이다. 자동화 물류창고는 기업이 소비자의 주문을 이행할 때 속도와 정확성을 담보하며 동시에 고객 맞춤 서비스까지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 때문에 코로나 팬데믹 이후 물류창고 기업들은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맞춤형 주문을 이행하고 다양한 재고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기술적으로는 증강/가상 현실, 무선 주파수 식별을 활용하는 모빌리티 솔루션, 로봇 공학 도입 등에 더 집중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들의 대면접촉 기피가 확산하는 등 구매 행동이 바뀌면서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향후, 물류 자동화는 이런 트렌드가 반영돼 원재료나 중간재 조달 등 생산 단계에 가까운 물류 영역보다는 도매에서 소매센터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물류 영역에서 더 활발하게 도입될 전망이다. 특히, 물동량 증가만큼 작업자를 대거 투입하는 게 어려운 지금 같은 현실에서는 자연스럽게 그 해결책으로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류창고를 자동화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전문가들은 △서비스 비용 절감, △효율성 및 서비스 수준 향상, △연중무휴 서비스 제공 등을 꼽는다. 여기에 더해 필요 인력을 최적화하여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할 수 있어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다.

자동적재출고시스템(ASRS) 탑재한 창고 로봇에 주목
코로나 팬데믹이 일상이 된 지금, 인간을 대신해 물류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창고 로봇(Warehouse Robot)은 노동력 부족 등 창고업계가 겪고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될 것이다. 물론, 코로나19 발생 이전에도 물류산업에서 로봇의 활용은 커다란 시대적 흐름이었다. 하지만 ‘AFTER COVID-19 시대’는 이런 트렌드를 더 가속할 것이다. 특히, 보관·피킹·포장·배송·재고 관리·라우팅 등 작업을 자동화, 효율성을 높이는 창고 로봇이 트렌드 메이커로 주목받고 있다. 창고 로봇은 인간이 일으킬 수 있는 오류를 예방하고, 인간 대신 위험한 작업에서 대체하며, 빠르고 정확한 배송을 지원하기 때문에 기업에 상당한 비용 절감과 수익 제고를 가져다줄 수 있다.

최근에는 보관물의 파손과 도난 방지에 효율적이고 실시간 재고 관리까지 쉽도록 지원하는 ‘자동적재출고시스템(ASRS: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기능까지 탑재한 창고 로봇까지 등장하고 있으며, 이런 새로운 창고 로봇의 활동 영역은 ‘AFTER COVID-19 시대’에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ASRS는 상품의 운반·저장·인도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밀하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수행하는 자동화 창고 시스템 장비와 통제 장치의 복합체로, 작업자가 스태커 크레인에 탑승하여 피킹하는 일종의 탑승형 자동창고시스템이다. 특히 좁고 높은 공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동적재출고시스템(ASRS)(출처: www.sick.com)
‘미시위치 기술’ 접목된 코봇도 등장
물류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위치정보를 알려주는 위성항법시스템(GPS)은 실내나 지하 등의 장소에서는 작동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휴매틱스(Humatics)사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 상품 위치를 추적하는 미시위치 기술(Microlocation Technology)을 개발했다. 이 미시위치 기술이 접목된 코봇은 창고 곳곳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3차원 가상공간을 통해 해당 상품 위치를 파악한다. 오차 범위는 2㎝에 불과하다. 이전까지는 로봇에 제공되는 실시간 위치 데이터가 거의 없어 비효율적 경로가 설정되기도 했지만 휴매틱스의 코봇은 이런 문제에서 벗어난다.

창고 로봇 중에는 ‘G2P(Goods-to-Person)’ 기술이 적용된 사례도 있다. 이는 로봇이 상품이 적재된 랙 시스템을 가지고 피킹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팔레트 단위의 이동도 가능하다. 미국 월마트는 마이크로 풀필먼트 전략에 따라 GTP 형태의 플랫폼 ‘알파봇’을 설치했으며, 완전 자동화를 이루면서 작업 속도를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디지털 신기술이 접목된 창고 로봇을 도입하면 △업무 자동화, △스마트화 기반 즉시성 확보, △소비자 주문 실시간 대처, △시설 점검 및 사고 예방 등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휴매틱스(Humatics) 사의 미시위치 기술(Microlocation Technology) 적용 이미지(출처: Humatics)
비대면 거래로 늘어난 물량 팔레트·박스 운반 ‘AMR’로 커버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수요가 오프라인 거래에서 온라인 거래로 급속하게 전환되면서 창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물류창고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 역시 급증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팔레트와 박스를 운반하는 자율이동로봇(AMR)의 필요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미국의 로봇 자동화 업체 AMT와 캐나다의 제조 및 물류창고 시설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전문 업체 오토모터스는 최근 자율이동로봇(AMR)을 활용한 자재 운반 솔루션을 공동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양사의 이번 제휴는 코로나19로 소비자 수요가 대면 중심의 오프라인 거래에서 비대면 중심의 온라인 거래로 방향을 급격하게 틀면서 창고와 제품 포장 분야에 급증하고 있는 팔레트·박스 운반 AMR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졌다.

AMT의 릭 붐(Rick Boom) 부사장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물류창고에서는 오히려 스마트 자재 운반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는 기회가 찾아왔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제휴에 앞서 미국 기술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사는 오토모터스 사의 AMR을 도입하면서 다른 기능의 하역 로봇과 이송 로봇을 이용한 창고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업계에서 주목을 받았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두 바퀴의 모바일 로봇 ‘핸들(Handle)’과 심층 학습 및 컴퓨터 비전 시스템이 적용된 로봇 ‘픽(Pick)’을 결합했다. 픽이 비전 시스템을 통해 물품을 인지하면 핸들이 그 물품을 집어 카트에 내려놓는 방식이다. 그 뒤 3,300파운드까지 화물 이송이 가능한 AMR ‘오토 1500(OTTO 1500)’을 투입해 내려진 물품을 예정된 공간으로 옮긴다.


AMR 기술을 적용한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사의 모바일 로봇 ‘핸들(Handle)’(출처: bostondynamics.com)
기존 시스템은 로봇이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통째로 옮기는 게 다였다. 팔레트에서 물품을 하나씩 꺼내 특정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은 인간이 수행해 왔다. 하지만 보스턴 다이내믹스처럼 하역과 이송 등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창고 작업의 효율성이 한 단계 개선됐다.

풀필먼트 센터로 변신하는 물류창고
‘AFTER COVID 시대’ 주류 트렌드로 부상할 전망
전통적인 물류창고는 단순히 물품을 보관·전달하는 장소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금의 물류창고는 소비자가 희망하는 특성과 가격 및 시간에 따라 제품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풀필먼트 센터’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풀필먼트 센터는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입고 → 분류 → 재고/품질 관리 → 배송 등 물류 전 과정에 인간 개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전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소비자 주문을 충족할 수 있다. 이런 풀필먼트 센터는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AFTER COVID-19 시대’에 주류 트렌드로 부상할 전망이다.

물류창고 혁신의 방향성은 각 업무 영역에서 인간의 조작이나 판단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최소화하는 ‘무인화’와 다양한 기능과 정보를 상호 연계·공유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표준화’로 향하고 있다. 여기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 바로 풀필먼트 센터다. 과거의 물류창고가 규모를 중시했다면 현재의 물류창고는 공간의 효율적 운영이 더 중요하다. 로봇으로 공간을 관리해 효율성을 높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공간에 대한 개념 역시 유휴 공간을 임대해 수익을 창출하는 ‘소유’ 개념에서 ‘공유’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실제 최근에 도입되는 풀필먼트 센터는 도심 속에도 구축 가능한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MFC)’로 변신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전에도 도심 속 MFC 구축 사례가 있었지만, 코로나19로 물품 진열 공간 혹은 오프라인 매장을 MFC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더욱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MFC는 자금력과 기술력이 풍부한 거대 기업에 맞서 소비자 주문에 민첩하고 신속하게 배송해야 하는 유통업체들에 유용한 모델로 꼽힌다. 특히 그동안 3PL에 의존했던 소규모 업체들에게 첨단 기술이 접목된 MFC의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 조건이 될 전망이다.

풀필먼트 센터는 공간 활용도 ‘수평’에서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다. 그뿐만 아니라 공유창고 중개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까지 등장하는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인다. 이처럼 풀필먼트 센터는 새로운 물리적 공간과 분석적 기술이 통합되어 비용 절감과 전략적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풀필먼트 센터 공유 모델은 코로나19로 정상적인 경영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좋은 차선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트렌드 메이커로서 해야 할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의 기술 기업 플렉스(Flexe)사로 이 회사는 유휴 공간을 보유한 물류창고 공급자와 비용 등 문제로 자체 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수요자를 연계시키는 공유 물류창고 모델을 선보였다. 이 모델은 수요자가 스마트폰으로 플렉스 플랫폼에 접속해 창고 위치와 이용 기간을 검색하면 조건에 부합하는 목록이 나타나고, 요금은 창고 최소 적재 단위인 팔레트 수에 따라 산정된다.


Part 2. 로봇, 물류센터 지형도 바꿀 ‘Game Changer’로 부상 < 기획특집 < 기사본문 - 물류신문 (klnews.co.kr)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