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인천계양 3기 신도시 부지에 문화재 수두룩… 사업 지연될 듯

  • 신축부지매매

3기 신도시 인천계양지구에서 문화재가 수두룩하게 발견돼 문화재청이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도시공사에 보존대책을 통보했다. 이에 따라 문화재 정밀발굴조사의 사전 단계인 표본조사와 시굴조사가 다음 달부터 1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많다.
 
인천 계양구 귤현동 유물산포지2에서 수습된 유물. /부경문물연구원 보고서
16일 LH에 따르면 LH는 지난 8일 ‘인천계양 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 문화재 시굴(표본)조사 용역’을 공고했다. 인천계양지구에서 문화재가 발견돼 다음 달부터 2022년 3월까지 문화재 표본조사와 시굴조사를 진행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계양구 귤현동, 동양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대 40만6267㎡에서 표본조사, 29만1082㎡에서 시굴조사가 각각 이뤄질 예정이다. LH는 "문화재청 보존대책 통보 결과에 따라 시굴·표본조사를 시행한다"고 했다.

매장문화재 조사 절차는 지표조사→시굴·표본조사→정밀발굴조사로 나뉜다. 인천계양지구의 지표조사는 지난해 5~7월 부경문물연구원이 진행했다. 이 조사에서 부경문물연구원은 인천계양 사업지구 내 총 9곳의 유물 산포지(散布地·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지역)를 발견, 문화재청에 "시굴조사와 표본조사가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연구원이 작성한 지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유적분포지는 ▲귤현동 유물산포지2 10만1840㎡ ▲동양동 유물산포지1 6만8480㎡ ▲동양동 유물산포지2 16만757㎡ ▲동양동 유물산포지3 3만7820㎡ ▲박촌동 유물산포지1 11만3207㎡ ▲박촌동 유물산포지2 9만7245㎡ ▲박촌동 유물산포지3 4만2810㎡ ▲박촌동 유물산포지4 18만7230㎡ ▲박촌동 유물산포지5 5만8280㎡ 등 총 9곳으로 조사됐다.

인천계양 전체 사업지 334만9214㎡ 가운데 총 86만7669㎡(26%) 면적에 유물이 분포돼 있다는 것이다. 축구장 121.5개에 해당하는 넓이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대상 지역 전역을 도보로 답사하며 지형과 지표상에 노출된 유구 및 유물의 흔적 등을 관찰해 유적의 분포 범위를 파악했다"면서 "지표조사 결과 삼국시대 추정 유물 일부와 고려·조선시대 유물 다수가 확인됐다"고 했다. 이어 "조사지역 서쪽에 고려·조선시대 유물이 집중 산포돼 있었고, 남단부 주위에도 유물이 비교적 다량 산포돼 있었다"면서 "공사 시행 전 각 산포지에 대한 시굴조사 및 표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종합적인 문화재 보존대책과 사업 시행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적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인천 계양구 동양동 유물산포지1, 동양동 유물산포지2, 계양구 박촌동 유물산포지1, 박촌동 유물산포지4에서 각각 수습된 유물. /부경문물연구원 보고서
불과 3일간 진행된 연구원의 현장 조사에서 유물이 수두룩하게 확인됐다는 점에서 향후 조사에선 유물이 ‘쏟아질’ 가능성이 높다. 계양지구 근처에서 유물이 다수 발견됐다는 점도 이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 예를 들어 ‘동양동 유물산포지2’에서 북쪽으로 불과 150m 떨어진 곳(계양지구 사업지 외곽)에서 2003년 인하대 박물관이 지표조사를 했는데,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토기편, 고려·조선시대 도기편·자기편이 확인됐다. 이후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발굴조사에선 신석기시대 유구와 청동기시대 주거지, 백제시대 분묘 등이 추가 발굴됐다.

인천은 앞서 택지개발을 할 때마다 유적이 쏟아지기도 했다. 영종도 택지개발을 진행할 때 신석기시대 주거지와 청동기시대 주거지 등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남동구 구월 택지개발 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백제 토광묘(土壙墓)와 고려~조선시대 횡구식 석곽묘(石槨墓)가 발견됐다. 이외 인천 곳곳에서 빗살무늬토기나 중국 화폐인 오수전(五銖錢) 등이 발견됐다.

연구원은 이같은 점에서 계양지구 내에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유적이 폭넓게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연구원은 "조사지역 일원에는 삼국~조선시대의 주거, 분묘, 생산유적 등이 분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천 계양지구 인근 지도. 계양지구 내에서 유적이 수두룩하게 발견됐고, 인근에도 유적이 다수 분포한다. /부경문물연구원 보고서
이에 따라 인천계양지구 사업은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향후 1년간 진행되는 표본조사와 시굴조사는 정식발굴에 앞선 예비조사 성격으로, 택지지구 개발을 위해선 정밀발굴조사도 추가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또 인천계양지구는 현재 토지보상 중으로 아직 보상 절차가 완료되지 않았다. 토지보상이 늦춰지면 문화재 발굴도 연쇄적으로 늦춰질 수 밖에 없다.

LH는 계양지구 ‘첫마을’ 입주 시기(2025년 12월)에 차질이 없게끔 이 단지 주변 문화재를 우선 조사해 달라는 ‘단계별 문화재 조사방안 수립’을 과업 지시사항으로 내걸었다. 전체적인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면 사전청약이 이뤄질 첫마을에서라도 문화재 조사를 서두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토지보상이 여전히 변수다. LH는 과업지시서에 "보상 지연 및 지장물 철거 순연으로 인해 조사 착수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적었다.

 
인천계양지구 내 ‘첫마을 구간’과 문화재 조사 우선 추진 구역. /LH 제공
한편, 이번에 LH가 공고한 용역에선 연구원이 시굴·표본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힌 총 86만7669㎡ 중 69만7349㎡에 대한 조사 일정만 담겼다. 나머지 면적은 인천도시공사가 별도 용역으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인천계양은 LH와 인천도시공사가 공동 사업 시행을 맡고 있다.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