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포스트 코로나 뉴딜에 '디지털' 녹인 부동산 신산업 나온다

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부동산 신(新)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금융권의 자산종합관리와 융합한 종합부동산 산업도 새롭게 구상한다는 방침이다. 연구용역을 통해 빠르면 10월 말께 전체구상안이 도출될 전망이다.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부동산 신산업 육성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민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에서 관련 서비스산업은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높아 경제적 영향력이 매우 크다"며 "그러나 전통적인 부동산업에 모바일, 빅데이터,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해외 사례와 달리 국내에선 새로운 부동산서비스 창업을 위한 기술개발과 연구개발(R&D) 투자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실제 2018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내 부동산자산 규모는 약 1경원으로 전체 국민순자산의 약 74%를 차지한다. 부동산업의 부가가치 유발계수도 2019년 기준 0.94로 건설업(0.68)과 금융업(0.84), 제조업(0.58)을 훨씬 웃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부동산 신시장 개척의 한 축으로 오는 7월 리츠(REITs) 운영규제 합리화, 영업범위 확대 등 자기관리 리츠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내놓고 11월에는 검사업무 위탁 등 공모리츠 체계를 개편한다. 리츠는 부동산 관련 자본과 지분에 투자해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회사다. 저금리 기조로 시중에 있는 100조원대 유동자금을 집값투기 대신 공공주택과 공적사업의 민간투자로 유도해 투자자본의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전략이다.

부동산 신산업의 또 다른 축은 부동산서비스업의 혁신과 다양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기존 부동산업이 개발사업 위주로 발전한 데다 중개, 평가, 개발 등 산업구조가 분절적이라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얻기 힘들었다고 판단한다.

국토부는 이번에 발주한 연구용역에서 부동산 전자계약과 같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민편의를 높이고 융합, 파생산업의 범위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비대면'이 강조되면서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부동산서비스업도 개발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면 자신이 입주하려는 주택의 구조를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다. 주요 부동산 계약도 민간 전자계약을 의무화해 굳이 모델하우스를 방문하지 않아도 내가 살고자 하는 집을 꼼꼼히 체크하고 온라인을 통해 청약하거나 바로 살 수 있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뉴딜을 위한 핵심 목표와도 맞닿아 있다. 이밖에 금융권의 자산관리와 융합하거나 주택관리 서비스와 결합한 신개념 고급 부동산서비스 제도도 연구용역을 통해 구체화할 가능성이 크다.

국토부는 지난 3월 30일 공고한 기존 '신산업' 용역발주를 지난달 6일 취소하고 이달 재공고 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정책일정 연기와 '포스트 코로나' 대책이 추가된 연구용역을 새롭게 추진하는 까닭에 이를 담아 내달 발표할 예정이었던 '업종별 맞춤형 부동산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도 순연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연구 기간 중 종합방안이 도출되는 오는 10월 말께 포스트 코로나 정책과 부동산 신산업 대책의 핵심내용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3943171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