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증권가 월세수입 1위는 대신證···알짜사옥은 교보證

  • 사무실임대,사옥이전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국내 대형증권사들을 중심으로 자기자본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옥을 팔고 임차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지만 몇몇 증권사들은 사옥 보유를 통해 얻는 이득이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대신증권과 교보증권은 경쟁력이 뛰어난 사옥을 통해 안정적인 임대료 수입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한국투자증권은 비효율적 건물구조가 최근 사세확장 과정에서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어서 아쉽다는 평가가 나온다.

◇ 대신·신한·교보·한투, 여전한 ‘내집’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가운데 임대료 수입이 가장 많은 증권사는 대신증권으로 지난해 214억원 등 연간 200억원이 넘는 임대료를 받고 있었다.

대신증권의 임대료 수입 1위는 2016년 12월 입주한 명동 신사옥 대신파이낸스센터 덕분이다. 대신파이낸스센터는 지하 7층부터 지상 26층으로 구성됐으며 연면적은 5만3328㎡에 이른다. 대신증권과 계열사들이 17층부터 26층까지 사용하고 나머지는 임대를 주고 있다. 지하에는 식당가인 디스트릭트 엠도 입점했다.

신한금융투자와 교보증권도 사옥으로 연간 100억원대의 임대료 수입을 거두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사옥은 쌍용투자증권 시절 지어진 건물로 쌍용그룹 계열사였던 쌍용건설이 해외 건설에서 배운 노하우를 활용해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하7층, 지상 30층에 연면적은 7만169㎡이다. 브레인자산운용 등 금융사들이 입주해있다. 다만 최근 몇년 동안 임대료 수입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교보증권은 여의도역과 연결된 건물로 유명하다. 1999년 SK그룹으로부터 377억원을 주고 매입했다. 지하 3층, 지상 19층에 연면적 40949㎡로 지어졌는데 매입당시 리모델링을 해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도 본사사옥을 가지고 있다. 교보증권 맞은 편에 1993년 지하5층, 지상 20층, 연면적 6만1750㎡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이외 중소형 증권사 가운데에서는 신영증권과 키움증권, 유화증권, 한양증권 등이 사옥을 보유하고 있다.

증권사는 사옥을 통해 임대료 수입을 창출할 수 있지만 최근 증권업계에서는 대형증권사들을 중심으로 사옥을 매각한 다음 그 자본을 활용해 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대세가 되고 있다.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종부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과 여의도 오피스 공급물량 부담도 영향을 끼쳤다.

KB증권은 2018년 6월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에 사옥을 매각하고 신축빌딩인 한국교직원공제회 더케이타워에 10년 임차로 들어갔다. KB증권 관계자는 “본사 사옥은 매각했지만 지방의 지점 건물에서 임대료가 여전히 나오고 있고 전대차 계약과 매각전 잔여임대계약 등에서 추가 임대 수입이 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메리츠증권과 NH투자증권도 지난해 사옥을 팔고 현재 임대로 사무실을 쓰고 있다. 메리츠증권은 IFC로 입주했으며 NH투자증권은 파크원오피스빌딩을 매입해 내년부터 세일앤리스백 형태로 쓸 계획이다. 앞서 미래에셋대우도 펀드에 본사사옥인 센터원빌딩을 팔았고 삼성증권도 2017년부터 강남사옥을 임대를 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사옥/사진=이승용
◇ 교보사옥 ‘입지깡패’···한투사옥 ‘공간부족’

사옥을 보유 중인 증권사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교보증권은 사옥을 통해 가장 큰 이득을 보고 있는 증권사로 꼽힌다. 교보증권 사옥은 지하철 5,9호선과 바로 연결되는 초초역세권으로 카페, 은행, 병원 등 다양하게 임대를 주면서 공실도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교보증권이 사옥을 통해 거두고 있는 임대료는 한해 전체 당기순이익의 1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1999년 377억원을 주고 매입한 건물은 2009년 자산재평가당시 1464억원으로 평가돼 교보증권은 그해 1090억원의 평가차익을 거뒀다. 이는 재무제표에 자기자본 증가로 반영됐다.

교보증권 사옥의 입지적 장점은 다른 여의도 건물이 대체할 수 없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교보증권의 시가총액은 5000억원 수준인데 부동산업자나 자산운용업계는 교보증권 사옥의 매매가격이 회사 시가총액을 훌쩍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한국투자증권은 사옥을 통해 얻는 효과가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사옥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오피스빌딩에 어울리지 않는 구조라고 업계는 바라본다. 한국투자증권 사옥은 건축 당시 호텔로 설계했다가 인근 주민의 반대 여론으로 오피스빌딩으로 변경됐다. 이 때문에 층고가 지나치게 높고 내부설계가 비효율적이다.

무엇보다도 절반 가량이 저층으로 지어져 대지면적에 비해 공간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크다는 지적이 그치지 않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사세가 확장하면서 직원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공간이 더 이상 나올 수 없어 타 건물을 임대해 직원들을 근무시키고 있다.

앞서 2009년 당시에는 지하에 있는 식당을 내보내면서까지 사무 공간을 확보하기도 했는데 최근 몇 년 동안은 자회사들을 줄줄히 내보내는 고육책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투자캐피탈과 한국밸류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등이 전경련회관과 신한금융투자타워 등으로 이주하고 사옥에는 한국금융지주와 한국투자증권만 남게 됐다.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999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