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수익 보장’ 명동역 지하상가도 텅텅… 10곳 중 3곳 비었다 [현장르포]

‘수익 보장’ 명동역 지하상가도 텅텅… 10곳 중 3곳 비었다 [현장르포]

28일 오전 대부분의 점포들이 문을 닫은 서울 명동역 지하상가가 썰렁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사진=조윤진 인턴기자

"3일동안 5만원 팔았어요. 다음 주부턴 그냥 (매장 문을) 닫을까 고민중입니다." (명동역 지하상가 패션잡화점 사장 이모씨)
28일 오전 찾은 서울 명동역 지하상가는 10시가 넘도록 문을 연 곳이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 이곳에서 의류점을 운영 중인 김모씨는 "장사가 안되니까 대부분 늦게 열고 일찍 닫거나, 아예 문을 닫았다"며 "(25개 상점이 있는)이 라인만 해도 문을 닫은 곳이 8곳"이라고 답답해했다.

 

수익 보장은 옛말…한달 20곳씩 폐업



코로나19 국내 확산이 8개월을 넘어서면서 서울 지하철역 상가 공실률은 30%를 넘어섰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1~9월까지 지하철 1~8호선 내에 입점한 점포 중 폐업한 점포는 228개다. 이는 지난해 동기(81개)보다 약 2.8배 증가한 수치다. 올 9월 기준 공실률은 31.9%에 달했다. 수익성이 보장됐던 지하철역 상가의 자영업자들은 신음이 깊어진지 오래다. 지하철 이용객도 줄어든데다 관광객을 비롯한 유동인구가 줄어들면서 매출은 곤두박질쳤다.

패션잡화점 상인 이씨는 "지금껏 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머리핀·브로치 등을 팔아왔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되자 외국인은커녕 내국인도 명동을 찾지 않는다"면서 "다른 일자리를 알아봐야할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서울시에서 올해 연말까지 지하도·지하철 상가 등 1만183개 공공상가 점포의 임대료 50%를 감면하는 수습책을 내놨지만 이마저도 감당하기 힘들어 폐업 사례가 이어지고있다.

하지만 지하상가 상인들은 '임대료 전면 면제'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 시내 최대 지하 상권으로 자리매김했던 고속터미널역 지하상가에는 "코로나 창궐로 지하상인 다 죽는다" "숨막혀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며 '대부료(임대료) 전면면제'를 요구하는 문구들이 여기저기 붙어 있다.

고속터미널역 지하상가 중앙에 위치한 매장의 월임대료는 700만원 선인데 50% 감면을 해 350만원 수준이지만 매출이 바닥인 상인들로서는 벅차다는 입장이다.

고속터미널역 상가에서 가방가게를 운영하는 김모씨는 "얼핏 사람이 다니는 것처럼 보여도 쇼핑객은 없다"며 "매출의 70% 이상이 줄어서 전기라도 아껴보려고 불을 끄고 영업중이다"라고 전했다.

 

권리금은 반토막…상권 붕괴 우려



권리금은 반토막난지 오래다. 고속터미널 상가 임대를 전문으로 하는 한 중개업자는 "터미널 상가 양쪽 끝에 위치한 매장의 경우 예전에 3000만~5000만원 정도의 권리금이 있었지만 이제는 무권리도 많다"며 "중앙에 위치한 곳은 권리금이 2억원에 달했지만 현재는 1억2000만원 선까지 내려갔다"고 전했다.
추가 대책없이는 상권 몰락을 피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높다. 임대료 반값 조치만으로는 상권 붕괴를 막기에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명동역 지하상가에서 양말매장을 운영하는 이모씨는 "한국인도 있긴 하지만 양말 사러 여기까지 오겠냐"며 "상권이 죽어버리면 임대료를 얼마로 하든 다 죽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s://www.fnnews.com/news/202010281817268607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