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부동산뉴스

‘우후죽순’ 역세권 청년주택, 코로나19에 디벨로퍼 ‘울상’

  • 신축부지매매

코로나19 재확산이 서울시 역점사업인 역세권 청년주택 조성 프로젝트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최근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전국 상권이 악화일로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상업시설의 분양성이 급격히 악화되며 역세권 청년주택 개발업체들이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이다.
2일 개발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에서 역세권 청년주택 개발을 위해 부지 계약을 체결한 디벨로퍼들이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7월 서울 강북권에서 역세권 청년주택 개발 부지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12억원(10%)을 납부한 A시행사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임대주택 100여가구와 상업시설을 조성하는 이 사업에서 상가 분양이 기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 정도다.

A시행사 고위 관계자는 “계약금을 포함한 개발 비용을 초기에 회수할 수 있는 수단이 상가 분양 뿐인데 최근 상업시설이 투자 시장에서 인기가 없는 분위기”라며 “소규모 디벨로퍼들에게 계약금 10억여원은 치명적이지만, 향후 분양 실패 경우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서울 광진구에서 오피스텔 내 상업시설을 분양 중인 건설사 관계자도 “지난달 상업시설 분양을 개시한 직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화하면서 기대치보다 계약률이 저조한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오는 2022년까지 8만가구 공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법인 사업자가 역세권 부지 개발 후 공공임대주택을 8년간 의무 임대하는 방식이다. 건물 저층에는 상업시설 조성으로 이를 분양토록 해 일정 사업비를 회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서울시는 지난해 말 준주거지역의 역세권 청년주택 용적률 상한을 최대 600%까지 높이는 방안을 시행하며 개발업체들의 사업성을 개선했다. SH공사 선배입형과 일부 분양형 주택도 내놨다.

그러나 코로나19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상업시설 분양시장이 침체기에 들어선 점이 디벨로퍼에게 치명적 타격을 입히고 있다.

개발업계 관계자는 “역세권 토지주들이 이같은 수요에 토지 호가를 계속해서 올리고 있는 반면, 최근 들어 분양성은 추락하고 있다”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선 입주자들의 임대료를 올려야 하는데 정책의 취지에 부합하는 현상인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2009011629423150901

댓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