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로디지털단지 역세권 활성화 사업 속도…용도지역 상향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인근 역세권 활성화 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서울시는 어제(9일) 제20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영등포구 대림동 993-15번지 역세권 활성화 사업에 대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용도지역을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하고, 이에 따른 공공기여시설로 공공임대산업시설(약 670㎡)과 지역필요시설(어린이집 약 537㎡, 키움센터 약 241㎡, 생활체육시설 약 458㎡), 도심형 주거시설 199세대를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저층부는 근린생활시설 등 비주거시설을 설치하고, 충분한 전면공지를 확보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하면서 보행환경도 개선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세대수 등 구체적인 사항은 인허가 과정에서 바뀔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현재 16개 '역세권 활성화 사업'을 운영 중인데, 이번 대상지는 공릉동(공릉역), 동교동(홍대입구역), 둔촌동(둔촌역)에 이어 네 번째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서울시는 어제(9일) 제20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영등포구 대림동 993-15번지 역세권 활성화 사업에 대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용도지역을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하고, 이에 따른 공공기여시설로 공공임대산업시설(약 670㎡)과 지역필요시설(어린이집 약 537㎡, 키움센터 약 241㎡, 생활체육시설 약 458㎡), 도심형 주거시설 199세대를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저층부는 근린생활시설 등 비주거시설을 설치하고, 충분한 전면공지를 확보해 가로 활성화를 유도하면서 보행환경도 개선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상반기 건축허가,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세대수 등 구체적인 사항은 인허가 과정에서 바뀔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현재 16개 '역세권 활성화 사업'을 운영 중인데, 이번 대상지는 공릉동(공릉역), 동교동(홍대입구역), 둔촌동(둔촌역)에 이어 네 번째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