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구로·가산동 일대 'G밸리' 재탄생…서울 최대 융·복합단지로 키운다

서울 구로동과 가산동 일대 ‘G밸리(서울디지털단지)’가 스마트 융복합 혁신 도심산업단지로 재탄생한다.
 

구로·가산동 일대 'G밸리' 재탄생…서울 최대 융·복합단지로 키운다

 

서울시는 구로구 구로동과 금천구 가산동 일대(192만2261㎡)에 대해 한국수출(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계획 변경과 지형도면을 고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G밸리 개발계획 변경(복합시설 용지계획)과 개발실시계획(지구단위계획 포함)을 아우르는 G밸리 최초의 국가산업단지계획 변경이다.

앞서 국내 최초 수출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된 G밸리는 1960~1970년대 준공 이후 현재 입주기업 1만2000여 개, 종사자 14만여 명이 상주하는 서울시 최대 산업단지로 자리매김했다. 민간 자체 개발을 통해 첨단지식산업단지로 변모했지만 그동안 계획적인 관리가 부족해 녹지 및 보행환경, 기업 종사자 기반시설과 지원시설 등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향후 G밸리 일대 지원거점 개발을 위한 세부 개발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기업 간 교류, 연구개발(R&D) 등의 지원시설을 확충할 수 있도록 13개 전략거점을 선정한 뒤 특별계획(가능)구역으로 지정했다. 13개 거점은 이용도가 낮은 공공용지와 역세권 내 노후한(30년) 민간 공장 부지가 대상이다. 향후 세부 개발계획 수립을 통해 산업시설과 지원시설이 함께 들어설 수 있는 복합용지로 용지변경이 가능하다. 해당 공공부지에는 연면적 30% 이상 R&D센터, 창업지원시설 등 ‘산업교류 혁신지원 공간’을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민간부지는 용지변경에 대한 개발이익 환수(지가 차액 50% 기부채납)를 통해 산업혁신 지원공간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부족한 지원시설 인프라를 개선할 방침이다.

13개 거점에는 전체 부지 면적의 15% 이상 공원형 공개공지도 조성된다. G밸리 3단지 가산디지털단지역과 안양천 연계축은 ‘수변연계 활성화 가로’로 지정해 카페, 아케이드 등이 들어설 수 있도록 했다. 교통체계도 G밸리 내부 혼잡도를 낮추기 위해 현재 3~4차선을 5~7차선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110188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