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적률 300%”까지… 리모델링 팔 걷어붙인 용인시
경기 용인시가 아파트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해 용적률 기준을 최대 300%로 상향했다. 용적률 상향으로 리모델링 사업성이 개선되면 용인시 내 리모델링 추진 단지가 늘어날 전망이다. 리모델링 추진 단지가 밀집한 용인시 수지구 일대에서 벌써부터 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용인시 택지개발지구에 해당하는 지역은 수지구와 기흥구, 처인구 일대 18곳이다. 이들 지역 택지지구 내 아파트 리모델링 기준 용적률은 최대 210%로 제한돼 왔다. 용적률은 대지면적 중 건물 연면적 비율로 땅 넓이 대비 건물 전체 넓이 비율을 말한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일반분양 물량을 늘릴 수 있어 그만큼 수익성이 좋아진다.정비업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시는 리모델링 용적률 상향안을 담은 지구단위계획을 이달 20일 변경 고시했다. 눈에 띄는 내용은 택지개발지구 내 공동주택 리모델링 관련 특례조항 신설이다. 이를 통해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용적률을 최대 300%까지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이는 경기 수원시와 성남시 용적률 기준인 280%보다 20%포인트 더 높은 수치다.
이번 리모델링 용적률 상향 조치로 특히 수지구 일대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더욱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용인 수지구는 1기 신도시 조성 직후인 1990년대 중후반 지어진 20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가 많다.
리모델링 기대감에 주변 아파트값도 들썩이고 있다. 리모델링 안전진단을 통과한 수지구 풍덕천동 ‘동아삼익풍림’(초입마을) 전용면적 59㎡형은 최고 7억6000만 원을 호가한다. 같은 평형의 직전 실거래가는 지난달 매매된 6억9500만 원이다. 한 달 새 호가 기준으로 6500만 원 올랐다.
조합설립 인가를 마친 상현동 ‘성복역리버파크’ 전용 84㎡형도 매도 호가(집주인이 팔기 위해 부르는 가격)은 최고 8억2000만 원으로 이달 초 거래된 7억7700만 원보다 4300만 원 상승했다.
리모델링은 아파트 준공 15년이 지나고 안전진단 B 또는 C 등급을 받으면 추진할 수 있다. 반면 재건축은 준공 30년이 지나고 안전진단 D등급 이하를 받아야 해 리모델링 사업보다 기준이 더 까다롭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056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