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건설업계, 부동산 규제 피해 도시정비사업 '올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와 분양가상한제에 막힌 국내 건설사가 올해는 도시정비사업에 집중하면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14일 국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정비사업 수주액 1조원을 넘긴 건설사는 7곳으로 5곳이이었던 지난해 보다 2곳 늘었다.

수주 랭킹 1위는 현대건설이다. 현대건설은 올해 현재까지 누적 수주액이 4조5881억원으로 지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4조억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실적의 약 1.5배다. 현대건설은 지난 6월 단군 이래 최대 재개발사업으로 꼽히는 서울 용산구 한남3구역의 시공사로 선정되면서 올해 정비사업 수주에 탄력이 붙었다. 지난 11일에는 한남3구역 재개발 사업의 공사계약서 체결식을 진행하며 사업을 본격화했다.

게다가 오는 19일 시공사 선정 총회를 앞두고 있는 '용인 현대성우8단지 리모델링 사업'을 수주하면 총 4조7386억원을 달성하게 된다. 이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지난 2017년 4조6468억원의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을 넘어서는 것이다.

 

현대건설 다음으로는 롯데건설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롯데건설의 올해 1~11월 누적 수주액은 2조6326억원으로, 지난해의 2배가 넘는다. 주요 수주사업은 서울 갈현1구역 재개발(9255억원)이 있다.

 

3위는 포스코건설이다. 포스코건설의 올해 1~11월 누적 실적은 2조5617억원으로, 지난해 총액(2조7452억원)보다는 줄었다. 포스코건설이 수주한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부산 대연8구역 재개발(8996억원)이다.

 

4위는 GS건설이다. GS건설의 1~11월 누적 수주액은 2조5092억원으로 지난해의 약 1.5배 수준이다. 5~7위는 각각 현대엔지니어링(1조2782억원), 대림산업(1조1358억원), 삼성물산(1조487억원) 순이다.

 

대림산업은 강남권에서 서울 서초구 방배동 방배삼익 재건축(2314억원)을 수주했으며 5년 만에 정비사업에 복귀한 삼성물산은 올해 상반기 서울 서초구 신반포15차(2400억원), 서울 서초구 반포3주구(8087억원)를 따내면서 화려한 부활을 예고했다. 강남 알짜배기로 불리는 사업장 두 곳에서 시공사로 선정되며 수주액 1조원을 넘어섰다.

 

8~10위는 대우건설(8728억원), HDC현대산업개발(6871억원), SK건설(4048억원) 순이다. 대우건설은 작년 총액(8666억원)보다 소폭 증가한 반면 나머지 두 업체는 모두 작년보다 수주액이 각각 37%, 33% 줄었다. 대우건설은 서울 동작구 흑석11구역 재개발 사업의 시공권을 두고 코오롱글로벌과 경쟁 중에 있다. 흑석11구역의 시공권을 가져가게 되면 1조 클럽 가입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흑석11구역 재개발 사업은 동작구 흑석동 304 일대 8만9300㎡ 부지에 지하 5층~지상 16층, 25개동, 1509가구를 짓는 사업으로 공사비는 4500억원 규모며 한국토지신탁이 시행 대행자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2일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합동설명회를 마쳤으며 오는 22일 2차 합동설명회에서 최종 시공사가 선정된다.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01214500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