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국내 물류창고 노후화 심각, 스마트 물류센터로 전환해야

국내 물류창고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물류센터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중소기업중앙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2020년 유통산업위원회·물류산업위원회'를 개최하고 스마트 물류센터 전환에 대해 논의했다.

◇스마트 물류센터, 공간과 노동력 절감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서상범 한국교통연구원 우수물류기업인증센터장은 ‘스마트 물류센터 인증제도 도입 방안’이라는 주제로, 스마트 물류센터 도입 필요성, 인증 절차, 기대효과 등 중소기업의 스마트 물류센터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서 센터장은 “스마트 물류센터는 자동화, 로봇기술,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해 물품의 입고부터 출고까지 전 단계에 걸쳐 자원과 화물의 이동을 자율적으로 통제하고 최적화·효율화해 70% 이상의 공간과 80% 이상의 노동력 절감이 가능하다”며 “독일 등 해외에서는 스마트 공장과 함께 물류시설의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러나 국내의 경우 7000여개 물류 창고시설 중 약 36.3%가 2000년 이전에 준공돼 노후화가 심화된 상황”이라며 “스마트 인증제 도입 등의 지원 방안을 통해 스마트 물류센터로의 전환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 물류센터 설비·시스템 비용 지원

정부는 지난달 ‘물류시설법 시행령’을 개정해 스마트 물류센터의 행정·재정적 지원을 위한 근거규정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물류센터 인증 시 설비·시스템 도입을 위한 비용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하거나 저리(低利)로 융자가 가능하다. 또 스마트 물류센터 신·개축시 조례에 따른 용적률·높이의 상한을 적용하는 등 건축규제도 완화됐다.

임원배 중기중앙회 유통산업위원장은 “코로나로 어려운 상황 가운데 근근이 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중소기업 대표들은 작은 변화라도 사업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면 적극적으로 도전할 준비가 돼있다”며 “유통·물류 스마트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 중소기업 현장에도 효과적으로 정착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 건의하는 등 위원회 차원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ttps://www.chosun.com/economy/smb-venture/2020/11/27/KZKWUV7HZFETPOE45YNPJFKYM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