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빠진 유니클로 위협하는 토종 SPA 탑텐…모바일앱 방문자 수 역전
힘빠진 `SPA 강자` 유니클로를 토종 브랜드인 `탑텐(TOP10)`이 무섭게 위협하고 있다. 최근 탑텐몰의 모바일 앱 사용자 수(DAU)는 유니클로를 뛰어넘은 뒤 유니클로와 치열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7월 시작된 일본제품 불매 운동 영향으로 국내 매출이 감소한 유니클로의 자리를 토종 브랜드가 대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27일 발표한 `모바일 핫이슈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SPA 브랜드 탑텐의 모바일 앱 사용자 수는 지난달 17일 처음으로 유니클로를 뛰어넘었다. 이날 탑텐몰의 하루 사용자 수는 2만 9399 명으로 2만8715명을 기록한 유니클로보다 684명 앞섰다. 그뒤 다시 유니클로가 앞섰지만 지난 8일 탑텐이 방문자 수 7만3668명을 기록하며 5만421명을 기록한 유니클로를 재역전했다. 이후 두 브랜드는 방문자 수를 놓고 엎지락뒤치락을 반복했다. 분석 기간은 2020년 5월 1일부터 2020년 10월 16일까지이며 일평균 4000만 모바일 기기의 20억건 데이터(안드로이드, iOS 통합)를 근거로 했다.
탑텐의 매출이 유니클로를 뛰어넘은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앱 방문자 수의 역전도 작지 않은 의미가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분석이다. 실제 분석을 시작한 5월 1일 탑텐몰 방문자 수는 5854명에 그쳐 7만2119명을 기록한 유니클로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5월 말에는 최대 9만7200명까지 격차가 벌어지기도 했다. 방문자 수 역전은 유니클로가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감소한 것도 원인지만 최근에는 탑텝의 공격적 마케팅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탑텐이 방문자 수에서 유니클로를 재역전한 10월8일은 전품목 1+1 프로모션을 내건 `텐텐데이` 이벤트의 시작일었다. 탑텝은 이같은 대대적 프로모션을 15일 간 이어갔다. 국내 패션업계 관계자는 "노노재팬의 영향으로 매출이 줄어든 유니클로의 빈자리를 누가 대체할 것인지에 대해 업계가 꾸준한 관심을 보였다"며 "온라인몰 방문자 수 부문의 역전은 국내 SPA 업체가 유니클로의 입지를 충분히 위협할 수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니클로의 모기업인 일본의 패스트 리테일링은 지난 15일 지난해 매출(회계연도 2019년 9월∼2020년 8월)이 전년 대비 12.3% 줄어든 2조88억엔(약 21조8천73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패스트 리테일링은 발표문에서 유니클로는 한국에서 영업손실(Operating Loss)을 냈다고 말했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10/1100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