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시장에 쏟아지는 목욕탕·찜질방
코로나19 사태가 경제와 민생 곳곳에 상처를 남기고 있는 가운데, 전국 목욕탕과 찜질방 등 목욕시설이 경매 시장에 잇따라 나오고 있다.

22일 본지가 법원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 시스템을 통해 찾아본 결과, 올해 1월1일부터 오는 5월 5일까지를 매각기일로 둔 목욕시설 물건은 총 32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19건)에 비해 약 68.4% 늘었다.
물건의 소재지를 보면 경기와 경남이 각각 7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인천(5건), 서울(4건), 전남(3건), 강원(1건), 경북(2건), 전북(1건), 충북(1건), 광주(1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경남 진주시 소재 대형 목욕시설 A랜드는 오는 27일 첫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건물면적만 3742.3㎡에 이르는 이 물건은 지하 1층~지상 1층 찜질방과 지상 2~3층 목욕탕, 4층 피트니스센터 및 부대시설 등을 갖춘 대규모 시설로, 감정가액만 56억5741만원에 달한다.
하지만 새 주인을 찾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경매업계에 따르면 목욕시설은 요즘 새 주인 찾기가 쉽지 않다. 응찰자 수가 적을 뿐더러 대부분 매각액(낙찰가)이 감정가보다 낮은 상황이다. 실제 작년 한해 목욕시설에 대한 경매 건수는 총 197건으로 이중 39건(19.8%)만 낙찰됐으며, 평균 응찰자 수는 1.65명에 그쳤다.
이달 7일 매각 결정된 인천 연수구 연수동 소재 목욕탕(건물면적 630.1㎡)의 경우, 작년 7월 기준 감정가가 26억원짜리인데 단 1명이 응찰해 14억1190만원에 낙찰됐다. 지난달 10일 매각된 경기 평택시 목욕시설의 낙찰가도 감정가(93억9000만원)의 약 3분의 1수준인 32억3077만원이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집단시설 이용 자제와 경기침체가 더해지면서, 앞으로 목욕탕과 찜질방
등 대형 목욕시설이 버티지 못하고 처분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낙찰자를 찾기도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목욕시설이 하향산업인데다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더 큰 타격을 받고 있을 것"이라면서 "오피스 주변 목욕시설은 살아남고 신규 아파트가 밀집한 주거지역에는 목욕시설이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했다
물건의 소재지를 보면 경기와 경남이 각각 7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인천(5건), 서울(4건), 전남(3건), 강원(1건), 경북(2건), 전북(1건), 충북(1건), 광주(1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경남 진주시 소재 대형 목욕시설 A랜드는 오는 27일 첫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건물면적만 3742.3㎡에 이르는 이 물건은 지하 1층~지상 1층 찜질방과 지상 2~3층 목욕탕, 4층 피트니스센터 및 부대시설 등을 갖춘 대규모 시설로, 감정가액만 56억5741만원에 달한다.
하지만 새 주인을 찾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경매업계에 따르면 목욕시설은 요즘 새 주인 찾기가 쉽지 않다. 응찰자 수가 적을 뿐더러 대부분 매각액(낙찰가)이 감정가보다 낮은 상황이다. 실제 작년 한해 목욕시설에 대한 경매 건수는 총 197건으로 이중 39건(19.8%)만 낙찰됐으며, 평균 응찰자 수는 1.65명에 그쳤다.
이달 7일 매각 결정된 인천 연수구 연수동 소재 목욕탕(건물면적 630.1㎡)의 경우, 작년 7월 기준 감정가가 26억원짜리인데 단 1명이 응찰해 14억1190만원에 낙찰됐다. 지난달 10일 매각된 경기 평택시 목욕시설의 낙찰가도 감정가(93억9000만원)의 약 3분의 1수준인 32억3077만원이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집단시설 이용 자제와 경기침체가 더해지면서, 앞으로 목욕탕과 찜질방
등 대형 목욕시설이 버티지 못하고 처분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낙찰자를 찾기도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목욕시설이 하향산업인데다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더 큰 타격을 받고 있을 것"이라면서 "오피스 주변 목욕시설은 살아남고 신규 아파트가 밀집한 주거지역에는 목욕시설이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했다